일본&Tip

일본 술자리 문화 한국과 다른점 총정리

일공사(104) 2024. 12. 15. 10:57

일본인들과 술자리를 하는 경우 일본 술자리 문화를 이해해 두시면 더욱 친숙하고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일본 술자리 문화 중에서 한국과 다른 점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본의 술자리 한국과 다른점

[목차]

1. 일본인들의 술잔 문화
2. 일본인들의 술자리 예절
3. 일본인들의 술자리 계산 문화
4. 일본인들이 술자리를 마무리 할때 하는 행동
5. 맺음말

 

 

1. 일본인들의 술잔 문화

일본인들과 술자리를 할때 일본과 한국의 가장 큰 차이점 중에 하나는 바로 '첨잔'을 하는 것입니다.

일본 사람들의 경우 잔이 비어있지 않더라도 그 잔에 술을 추가로 따르는 것이 일상적인 문화인데 처음에는 다 비우지도 않은 술잔을 자꾸 채워줘서 계속해서 마시라고 그러는 줄 알았습니다..ㅎ

술잔을 따르는 방법

 

일본 사람들은 술자리에서 원샷을 강요하는 문화가 아니다 보니 적당히 마시고 술잔을 내려놓는데 그렇게 마시다가 어느 순간에 잔이 비워지기 전에 술잔을 미리 채워 넣는다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본사람들하고 술을 마실때는 잔을 상대방이 잔을 다 비울 때까지 기다리지 마시고 조금씩 자주 따라 주셔도 실례가 되지 않습니다.

술잔과 관련된 일본어도 몇가지 참고로 공유 드립니다.

(참고 일본어)
一気飲み(잇키노미) : "원샷"
注ぐ(츠구) : "(술) 따르다"

 

 

2. 일본인들의 술자리 예절

일본인들의 술자리 예절은 위에서 언급했던 '첨잔'이 가능한 것 이외에는 크게 차이가 있는 점은 없습니다.

 

다만 한국의 경우 상사난 손위 사람과 술을 마시면 얼굴을 돌리고 마시는 것이 예의이지만 일본의 경우는 그런 예절은 없기 때문에 손위 사람이나 상사들과 마시더라도 얼굴을 돌리지 말고 가슴 활짝 펴고 마셔주시기를 바랍니다.

 

일본 회식 문화의 필수 일본어 "엔료노 카타마리"

오늘은 일본인들과 식사를 하거나 회식할 때 알아두면 유용한 구문을 간단하게 하나 소개 해드리겠습니다. 바로 '遠慮の塊(엔

lge-kim.tistory.com

 

 

3. 일본인의 술자리 계산 문화

최근에 국내에서 그렇지만 일본에서 회식은 99% 이상 대부분 와리깡입니다.  

만일 즉흥적으로 주점을 찾는 경우라면 와리깡으로 계산하는 경우가 많지만 미리 술자리 예약을 하는 경우에는 처음부터 타베/노미 호다이가 가능한 정액 요금의 주점으로 회식 장소를 선택하기도 합니다. 

 

'타베/노미호다이' 의미 및 추천 일본 주점 간단 정리

일본 현지의 주점이나 식당에서 매우 많이 사용하는 '타베호다이'와 '노미호다이'라는 말의 의미와 관련된 여러 가지 표현 그리고 현지에서 '타베호다이'와 '노미호다이'로 먹을수 있는 체인 주

lge-kim.tistory.com

 

총액이 얼마가 될지 모르는 일반 주점 보다 타베/노미호다이의 주점인 경우에는 처음에 예산을 미리 공지해서 걷기가 쉽기 때문이지요. 

 

요즘은 조금 줄기는 했어도 한국에서는 윗사람이 내는 분위기가 조금 높지만 이렇게 일본인들처럼 나누어서 내는 문화적 분위기는 훨씬 더 합리적인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일본의 회식과 관련된 일본어 몇 가지도 참고로 공유드립니다.

(참고 일본어)
お勘定(오간죠) : 계산서
割り勘(와리깡) : 계산을 나눔

 

 

4. 일본인들이 술자리를 마무리할 때 하는 행동

우리나라에서는 술자리를 마무리할 때는 보통 건배 제의를 하기도 합니다.

 

일본 건배사 모음(회식, 모임 등)

연말연시가 되면 어느 나라건 회식이나 모임들이 많아지는데 가끔 포멀 한 자리에서 건배사를 제의받는 경우들이 많습니다.이때 일본인들과 같이 있는 자리라면 어떤 건배사가 좋을지 망설여

lge-kim.tistory.com

 

하지만 일본의 경우 술자리를 마무리할 때 어떻게 할까요??

 

일본의 경우 술자리를 마무리 할때 "잇쬬지메", "잇뽄지메" 혹은 "산봉지메"라고 하는 제스처로 술자리를 마무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잇쬬지메

 

이 제스처는 술자리를 마무리할 때 테이블에서 그 회식의 '간지(회식을 이끄는 사람)'의 인사말과 구호(오떼오 하이샤쿠"お手を拝借”)에 맞추어서 박수로 마무리하는 것인데 박수의 횟수는 다음과 같이 제스처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제스처명 박수 횟수
잇쬬지메(一丁締め) 1회
잇뽕지메(一本締め) 10회(3번 X 3회 + 1번)
산봉지메(三本締め) 30회(3번 X 3회 + 1번) X 3회

 

위에서 말하고 있는 잇뽕지메등의 제스처를 말로만 들으면 너무 이해가 안 될 수 있으므로 야쿠자들이 잇뽄지메와 산봉지메를 하는 모습을 영상으로 공유해보겠습니다. 

 

 

회식 마무리와 관련된 일본어들도 몇 가지 공유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 일본어)
締め(시메) : "마무리"
拝借(하이샤쿠) : "준비"
一本(잇뽕) : "한번"
三本(산봉) : "세 번"

 

 

5. 맺음말

이상으로 일본 술자리 문화 중에서 한국과 다른 점이라고 생각되는 몇 가지 포인트에 대해서 공유드렸습니다.

 

일본이 메이와쿠 문화이다 보니 평소에는 비교적 남에게 피해를 끼치는 사람들이 적지만 가끔 회사 회식을 참석해 보면 억누르고 있던 이성적인 생각들이 풀리면서 좀 특이한 분들도 많아 재미있는 상황들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동일하겠지만...)그래서 그런지 저의 경우 일본인들의 술자리는 항상 즐거웠습니다..ㅎ

 

어쨌든 일본인들과 술자리가 있으신 경우에는 위에서 정리드린 일본인들의 술자리 문화에 대한 내용들을 숙지하시고 참석하시면 더욱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서 관련 내용들 공유드려보았으니 도움 되시면 좋겠습니다.

반응형